기아 스포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스포티지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로, 1993년 1세대가 출시된 이후 현재 5세대 모델까지 판매되고 있다. 1세대는 기아와 포드가 공동 개발하려다 기아에서 독자 개발하여 1993년에 출시되었으며, 1990년대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세대는 2004년에 출시되어 현대 아반떼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3세대는 2010년에 출시되어 기아의 패밀리룩을 적용하고 현대 투싼과 플랫폼을 공유했다. 4세대는 2015년에 출시되어 현대 올 뉴 투싼과 플랫폼을 공유했으며, 5세대는 2021년에 출시되어 기아의 최신 디자인 철학을 반영했다. 스포티지는 각 세대별로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꾸준히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1993년 도입된 자동차 - 쌍용 무쏘
쌍용 무쏘는 1993년에 출시되어 켄 그린리가 디자인하고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된 대한민국의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이며, 1998년 페이스리프트, 2002년 픽업 트럭 모델 출시, 2005년 단종, 2018년 2세대 모델 출시 등의 변천사를 거쳤다. - 1993년 도입된 자동차 - 메르세데스-벤츠 C 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C 클래스는 1993년 출시된 메르세데스-벤츠의 준중형차로, 190 시리즈의 후속 모델이며, 4도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스포츠 쿠페, 쿠페, 카브리오레 등 다양한 파생 모델을 거쳐 2021년 6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기아 스포티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아 스포티지 |
로마자 표기 | Kia Seupotiji |
다른 이름 | 기아 스포티지 그랜드 기아 스포티지 R (대한민국, 중국) 기아 KX5 (중국) |
제조사 | 기아 |
생산 기간 | 1993년~2002년 2004년~현재 |
차종 | SUV |
차체 형식 | 5도어 SUV |
이전 모델 | 기아 레토나 |
조립 국가 | 대한민국 슬로바키아 중국 미국 |
조립 공장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1993년~2002년) 광주광역시 (2004년~현재) 질리나 (2007년~현재) 장쑤성 옌청시 (2007년~현재) 조지아 주 웨스트포인트 (2021년~현재) |
관련 차량 | 기아 레토나 기아 K-131 현대 투싼 현대 아반떼 기아 쎄라토 기아 쏘렌토 기아 K5 |
구동 및 차대 |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2004년~현재) 4륜구동 (1993년~2002년, 2004년~현재) |
차대 | 프레임 (1993년~2002년) 모노코크 (2004년~현재) |
엔진 | |
엔진 종류 | R 2.0 e-VGT (2015년~현재) U2 1.7 e-VGT (2015년~2019년) 스마트스트림 U3 1.6 e-VGT (2018년~현재)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수동 5단 (1993년~2002년, 2004년~2006년) 수동 6단 (2006년~현재) 자동 4단 (1993년~2002년, 2004년~2010년) 자동 6단 (2010년~2018년) 듀얼 클러치 자동 7단 (2015년~현재) 자동 8단 (2018년~현재) |
연료 | |
연료 종류 | 가솔린 (1993년~2002년, 2005년~현재) 디젤 (1993년~2002년, 2004년~현재) LPG (2022년~현재) |
2. 1세대 (NB-7, 1993년~2002년)
1세대 스포티지(NB-7)는 기아가 포드와의 합작 무산 후 독자 개발한 모델로, 마쓰다 본고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1991년 10월 도쿄 모터쇼에서 세피아와 함께 처음 발표되었으며, 1993년 7월 9일에 출시되었다.[119]
1993년 1월 파리-다카르 랠리에 출전하여 완주했고, 2000년과 2001년에도 T3(완전 개조 부문)으로 출전하여 공식 완주했다.[120][121] 초기에는 숏 바디 모델만 있었으나, 1996년 롱바디 모델인 '스포티지 그랜드'가 추가되었다. 1997년에는 그랜드 모델에 화물 적재 공간을 더한 2인승 '빅 밴' 모델도 출시되었다.
1995년 7월 1일 기존 마쓰다제 2.2ℓ HW 디젤 엔진을 91마력 2.0ℓ RT 터보 인터쿨러 디젤 엔진으로 교체했다.[122] 유럽 사양은 독일의 카르만에서 위탁 생산되었으며, 미국에서는 2년 연속 가장 가치 있는 자동차로 선정되기도 했다.[123]
2도어 하드톱과 소프트톱 모델은 해외 시장용으로만 출시되었고, 대한민국 내수 시장에서는 판매되지 않았다. 1세대 스포티지는 대한민국보다 해외에서 더 많이 판매되었다.
2002년 9월 1세대 스포티지는 단종되었으며, 후속 모델은 쏘렌토 (1세대 BL)이다.
2. 1. 스포티지 (1993년 7월~1998년 2월)
1991년 10월 도쿄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1993년 7월 9일에 정식 출시되었다.[119] 출시 전인 1993년 1월에는 파리-다카르 랠리에 참가하여 완주에 성공하며 내구성을 입증했다.[120]

처음에는 숏 바디 모델만 출시되었으나, 1996년 1월 19일에 롱바디 모델인 '스포티지 그랜드'가 추가되었다. 1995년 7월 1일에는 디젤 엔진의 출력을 높였고, 1997년 8월 23일에는 그랜드 모델에 화물 적재 공간을 마련한 2인승 '빅 밴' 모델을 추가했다.[122]
유럽 시장에서는 독일 카르만에서 위탁 생산되었으며, 미국 시장에서는 2년 연속 가장 가치 있는 자동차로 선정되기도 했다.[123] 1998년 2월 25일에는 범퍼가 80mm 늘어나는 등 외형이 개선되었고, 에어백도 새로 적용되었다.[124]
2도어 하드톱과 소프트톱 모델은 해외 시장용으로만 출시되었고, 대한민국 내수 시장에서는 판매되지 않았다.
; 스포티지 제원
구분 | 2.0ℓ FE 가솔린 SOHC 4WD | 2.0ℓ FE 가솔린 DOHC 4WD | 2.0ℓ RT 디젤 4WD | 2.2ℓ HW 디젤 4WD |
---|---|---|---|---|
전장(mm) | 4,045(전기형) 4,125(후기형) 4,350(그랜드 전기형, 빅밴 전기형) 4,430(그랜드 후기형, 빅밴 후기형) | |||
전폭(mm) | 1,735 | |||
전고(mm) | 1,655 | |||
축거(mm) | 2,650 | |||
윤거(전, mm) | 1,440 | |||
윤거(후, mm) | 1,440 | |||
승차 정원 | 2명(빅밴) 5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
서스펜션(전/후) | 더블 위시본/리지드 액슬 | |||
구동 형식 | 4륜구동 | |||
연료 | 가솔린 | 디젤 | ||
배기량(cc) | 1,998 | 2,184 | ||
최고 출력(ps/rpm) | 99/5,000 | 139/6,000 (이후 136/6,000으로 변경) | 91/4,000 (이후 87/4,000, 83/4,000(수동 5단), 85/4,000(자동 4단)으로 변경) | 70/4,050 |
최대 토크(kg*m/rpm) | 17.0/2,500 | 18.5/4,000 | 20.5/2,000 (이후 19.5/2,000(수동), 20.0/2,000(자동)으로 변경) | 14.5/2,500 |
연비(km/ℓ) | 9.6(수동 5단)/ 9.2(자동 4단) | 9.3(수동 5단)/ 9.1(자동 4단) | 12.3(수동 5단)/ 11.5(자동 4단) | 14.0(수동 5단) |
2. 2. 스포티지 아멕스 (1998년 2월~2002년 9월)
1998년 2월 25일에 스포티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스포티지 아멕스가 출시되었다. 외관 디자인이 개선되어 범퍼가 80mm 늘어났으며[125], 에어백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일본에서도 기아자동차 일본 법인을 통하여 20대 정도가 시험 수출되었지만, IMF 외환 위기로 인해 판매가 중단되었다. 엔진과 섀시는 대한민국 군용차 K-131과 민수용 모델인 레토나에도 사용되었다. 2002년 9월에 쏘렌토에 프레임을 물려주고 단종되었다. 1세대 스포티지는 대한민국보다 해외에서 인기가 많았으며, 디젤 엔진의 결함으로 인해 다음 세대보다 보기 힘든 차가 되었다.

3. 2세대 (KM, 2004년~2010년)
2세대 스포티지(KM)는 2004년 8월 17일에 출시되었다. 1세대와 달리 현대 아반떼(XD)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현대 투싼(JM)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도심형 SUV이다. 1세대가 프레임 바디를 사용한 것과 달리, 2세대는 모노코크 바디를 적용했다.[126]
내수용 엔진으로는 2.0ℓ D 디젤 엔진과 2.0ℓ 베타 가솔린 엔진이 있었고, 수출용으로는 V6 2.7ℓ 델타 가솔린 엔진도 탑재되었다. 디젤 엔진의 터보차저는 WGT에서 VGT로 변경되었다.
2007년에는 배우 조인성과 제임스 딘이 출연한 광고가 화제가 되었다. 같은 해 10월 10일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차체 색상이 투톤에서 원톤으로 변경되었고, 이선균, 배두나, 김한준이 광고 모델로 기용되었다.
2009년 5월 21일에는 경제 운전 안내 시스템, 조수석 에어백, MP3 CDP, AUX&USB 단자 등이 기본 적용된 2010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중국에서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15년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다.
3. 1. 뉴 스포티지 (2004년 8월~2010년 3월)
2004년 8월 17일에 출시되었다. 1세대가 화성 공장에서 생산되었던 것과는 달리, 광주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당초 1세대의 후속 차종으로 개발되었던 것은 쏘렌토(BL)였으나, 아반떼(XD)의 전륜구동 모노코크 플랫폼을 활용하여 투싼(JM)과 플랫폼을 공유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1세대의 후속 차종이 아닌 새로운 차종이 되었으나, 스포티지의 명성을 고려하여 차명을 그대로 사용하였다.[126] 1세대가 프레임 바디였던 것과 달리 모노코크 바디로 변경되었다.

내수용은 2.0ℓ D 디젤 엔진과 2.0ℓ 베타 가솔린 엔진이 적용되었고, 디젤 엔진의 터보차저는 이후 WGT에서 VGT로 변경됐다. 수출용은 V6 2.7ℓ 델타 가솔린 엔진도 적용되었다. 2007년에는 배우 조인성과 제임스 딘이 광고에 출연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같은 해 10월 10일에는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바디 컬러가 투톤에서 원톤으로 변경되었으며, 광고 모델로 이선균, 배두나, 김한준이 출연하였다. 2009년 5월 21일에는 경제 운전 안내 시스템, 조수석 에어백, MP3 CDP, AUX&USB 단자 등이 기본 적용된 2010년형이 선보였다. 중국에서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15년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다.
; 뉴 스포티지 제원
구분 | 2.0ℓ 베타 가솔린 2WD | 2.0ℓ D CRDI 디젤 2WD | 2.0ℓ D CRDI 디젤 4WD | 2.0ℓ D VGT 디젤 2WD | 2.0ℓ D VGT 디젤 4WD |
---|---|---|---|---|---|
전장 (mm) | 4,350 | ||||
전폭 (mm) | 1,820 1,840(사이드 가니시 적용시) | ||||
전고 (mm) | 1,695 1,730(루프랙 적용시) | ||||
축거 (mm) | 2,630 | ||||
윤거 (전, mm) | 1,540 | ||||
윤거 (후, mm) | 1,540 | ||||
승차 정원 | 5명 | ||||
변속기 | 자동 4단 | 수동 5단 자동 4단 | 수동 6단 자동 4단 | 수동 6단 |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듀얼 링크 | ||||
구동 형식 | 전륜 구동 | 4륜 구동 | 전륜 구동 | 4륜 구동 | |
연료 | 가솔린 | 디젤 | |||
배기량 (cc) | 1,975 | 1,991 | |||
최고 출력 (ps/rpm) | 142/6,000 | 115/4,000 | 143 (이후 151로 변경) | ||
최대 토크 (kg*m/rpm) | 18.8/2,000 | 26.5/2,000 | 32.0 | ||
연료 탱크 용량 (ℓ) | 58 | ||||
공차 중량 (kg) | 1,545(자동 4단) (이후 1,480(자동 4단), 1,510(자동 4단), 1,510(자동 4단)으로 변경) | 1,540(수동 5단)/ 1,545(자동 4단) | 1,615(수동 5단)/ 1,630(자동 4단) | 1,595(수동 6단)/ 1,615(자동 4단) (이후 1,615(자동 4단)로 변경) | 1,685(수동 6단) |
연비 (km/ℓ) | 13.0(자동 4단) (이후 9.2(자동 4단), 9.9(자동 4단), 10.6(자동 4단)으로 변경) | 14.6(수동 5단)/ 13.0(자동 4단) | 14.1(수동 5단)/ 12.0(자동 4단) | 15.2(수동 6단)/ 12.6(자동 4단) (이후 13.1(자동 4단)로 변경) | 14.3(수동 6단) |
Co2 배출량 (g/km) | 235(자동 4단) (이후 221(자동 4단)으로 변경) | — | — | 177(수동 6단)/ 204(자동 4단) | 188(수동 6단) |
4. 3세대 (SL, 2010년~2015년)
3세대 스포티지(SL)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직선의 단순화'를 바탕으로 디자인되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판매되었다.
2세대 스포티지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 보험 연구소(NHTSA)의 충돌 테스트에서 최고 등급인 별 다섯 개를 받았으나, 미국 고속도로 안전 보험 연구소(IIHS)의 평가에서는 전면 및 측면 충돌 안전성은 "보통", 지붕 강도는 "불량"으로 평가되었다.[9]
테스트 | 등급 |
---|---|
종합: | style="text-align:center;" | |
전면 부분 중첩 충돌 | 보통 |
측면 충돌 | 보통 |
지붕 강도 | 불량 |
머리 지지대 및 시트 | 불량 |
3세대 모델은 현대 투싼 ix(LM)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2.0L R 디젤 엔진을 탑재했다. 2011년에는 2.0L 세타 II 가솔린 터보 GDI 엔진이 추가되었다.
2012년에는 LED 포지션 램프와 스티어링 휠 정렬 알림 시스템이 추가된 2013년형 모델이 출시되었고, 2013년에는 부분 변경을 거쳐 "더 뉴 스포티지 R"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14년에는 타이어 공기압 경고 시스템이 전 등급에 기본 장착된 2015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4. 1. 스포티지 R (2010년 3월~2013년 7월)
2010년 3월 23일에 출시되었다. 쏘렌토 R(XM)처럼 서브 네임을 R로 하여 스포티지 R이 되었다. 기아자동차의 패밀리 룩이 적용되어 직선의 단순화 개념이 반영되었다. 현대 투싼 ix(LM)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성능과 연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2.0ℓ R 디젤 엔진을 적용하였다.2011년 3월 1일부터는 모든 사양에 1열 사이드&커튼 에어백이 기본으로 적용되고 최고 출력 261마력에 최대 토크 37.2kg·m의 성능을 갖춘 2.0ℓ 세타 Ⅱ 가솔린 터보 GDI 엔진이 추가되었다. 기존 모델과 익스테리어를 차별화하였으며, 인테리어에서도 자동변속기에 있는 인디케이터 판넬의 컬러와 재질이 변경되었다.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인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의 수송 디자인 분야에 본상(Winner)에 선정되는 등 직선 위주의 간결한 디자인이 큰 호평을 받았다.[127]
2012년 7월 24일에는 LED 포지셔닝 헤드 램프와 스티어링 휠 정렬 알림 기능이 신규 적용된 2013년형이 출시되었다.
3세대 모델부터 마그나 인터내셔널의 새로운 AWD 시스템인 Dynamax가 채택되었으며,[117][118] Dynamax AWD 커플링은 현대위아(현대자동차그룹)와 마그나의 합작회사인 위아-마그나 파워트레인(아산시)에서 생산된다.
4. 2. 더 뉴 스포티지 R (2013년 7월~2015년 9월)
2013년 7월 23일에 부분 변경을 거친 더 뉴 스포티지 R이 출시되었다.[127] 4.2인치 컬러 TFT LCD 슈퍼비전 클러스터를 적용하고, 동승석 통풍 시트, 2열 에어 벤트 및 시트백 조절 기능 등을 추가하여 편의성을 높였다.2014년 7월 2일에는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가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된 2015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127]
중국 시장에서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현재까지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5. 4세대 (QL, 2015년~2021년)
디젤: 1.7L I4(터보차저), 2.0L 4l CRDI